우리나라는 18세기 말 이벽을 중심으로 한 실학자들 몇몇의 학문적 연구로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이들 가운데 이승훈이 1784년 북경에서 '베드로'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신앙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마침내 한국 천주교회가 탄생한 것이다.
대부분 선교사의 선교로 시작된 다른 나라들의 교회에 비하면 매우 특이한 일이다.
그러나 당시 한국 사회는 전통을 중시하던 유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어, 그리스도교와 크게 충돌하였다.
결국 조상 제사에 대한 교회의 반대 등으로 천주교는 박해의 시대를 맞이하였다.
신해박해(1791년)를 시작으로 병인박해(1866년)에 이르기까지 일만여 명이 순교하였다.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한국천주교회 200주년'의 해인 1984년 우리나라를 방문하여
이들 순교자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와 평신도인 정하상 바오로를 비롯한 103명을 시성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 교회는 9월 26일의 '한국 순교 복자 대축일'을 9월 20일로 옮겨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로 지내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는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아직 시성되지 못한
순교자들의 시복 시성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오늘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입니다.
우리가 받은 복음 말씀은 신앙 선조들의 피로 전해진 것입니다.
그분들은 주님의 말씀을 자신의 목숨보다 더 소중하게 여겼습니다.
기나긴 박해 속에서도 신앙을 이어 온 선조들의 고귀한 정신을 되새기는
가운데 오늘 우리 자신의 믿음을 성찰해야 하겠습니다.
- '매일미사' 125쪽에서 발췌 -
<'103위 성인', 인천가톨릭대학교 도서관>
8769
'천주교 강화 그리스도왕 성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교자의 모후 전교 수녀회 (0) | 2013.10.06 |
---|---|
예비신자 입교식 (0) | 2013.10.06 |
사무실 현판 (0) | 2013.09.18 |
우리에게 평화를... (0) | 2013.09.18 |
어린이 복사단 선서식 (0) | 2013.09.16 |